이번 사용기부터는 Tissie 앱을 사용하며 기록하면서 데이터에 많은 부분이 수정되고 추가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글인 "이제부터, Tesla MYL 사용기록의 Data 수집 및 분석기준을 변경하다"에서 참고하길 바란다.
데이터의 수집방식을 바꾸면서 측정된 데이터가 좀더 현실에 가까워진 것으로 느낀다.
내가 테슬라 모델Y를 운행하면서 체감했던 주행가능거리와 배터리 효율 등이 어느 정도 수치적으로 잘 반영된거 같다.
▷ 연식 : 2022년형 (2022년 6월 인도)
▷ 차량버전 : Model Y Long-range, 20인치 휠 + USS 포함 + FSD(NOA) + HW3.0
▷ 일상에서의 배터리 사용구간 : 20~80% (+ 감시모드를 상시로 사용함)
▷ 주행거리의 90% 이상을 고속주행으로 다님
▷ FSD버전 : 2024.32.7~2025.2.8
▷ 운행기간 : 2024년 11월~2025년 03월
▷ 사용기 주행거리 : 약 70,001 ~ 80,000km
▷ 주사용 속도구간 : 70~125km(When overtaking)
▷ 현재 평가주행가능거리 : 416.7km [디스플레이 표시 주행가능거리 531km(최초) => 500km(약 13개월) => 511km => 490km => 480km => 380km(겨울) => 450km (2025년 03월 22일 기준)]
▷ 연비 : 46.0원/km
※ 위 표에서 계산된 수치값은 테슬라 데이터와 서드파티앱들의 데이터를 수기로 기재한 Raw Data들로 오차는 있으니 감안하여 볼 것
- 주행거리 10,000km 단위로 사용기를 연재해 본다.
33개월동안 약 80,000km 정도 운행하였고 대부분은 고속도로에서 주행하였다.
그동안 느껴본 테슬라 모델Y 2022년 형의 시승기(?)를 적어본다.
연재되는 포스트라 앞에 글을 읽어야 다음글을 이해할 수 있음
그리고 주관적인 부분도 많으니 참조 정도로만 생각하시길~!
■ 배터리 관련
01. 충전 평균손실율이 8.89% => 11.80%로 32.7%로 크게 증가함. 이번부터 Tessie 앱을 사용하면서 실시간으로 배터리 열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는데, 주행거리 66,500km에서부터 이 데이터를 반영하면서 표에서는 충전 평균손실율이 급격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남. (※ 66,500km 이전 데이터는 역산하여 선형으로 배터리가 열화되었다고 가정하였음)
02. 연비는 46km/원으로 약 6%, 전비는 5.952km/kWh로 약 1.2% 감소하였음. 배터리가 열화되면서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었다고 볼 수 있음
03. 대기전력손실은 약 20%로 줄어들었음. 이 역시 실시간으로 배터리 열화 정도를 반영하면서 급변한 것으로 측정됨
04. 100% 완충 후 MYL 모니터에 표시되는 평가주행가능거리가 450km로 바뀌었음. 한참 추웠던 한겨울에는 380km로 표시되기도 했음
05. 평가주행가능거리는 451.8km에서 416.7km로 크게 감소하였음. 최근 실제적으로 체감하는 주행가능거리와 비슷한 수치임. 전비 잘 나오면 450km까지는 갈 수 있겠지만 고속도로를 이용해서 타지역으로 여행갈 때는 대략 400km 정도 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여행계획을 짜는게 크게 무리없었음. 테슬라 모델Y 구매 후 1년은 체감적으로 500km 또는 그 이상은 간다고 생각했음. 하지만 지금은 100km 감소한 400km 정도 갈 수 있다고 생각됨. 그래서 체감되는 거리가 너무 크게 줄어들었음. 내가 RWD나 저가모델을 절대 비추하는 이유 중 하나임.
06. 전기차 충전은 현재까지 총 611회, 해당구간에서는 76회 실시하였음
07. 배터리 가용 용량(Battery Net Capacity) 기준, 배터리 열화율은 약 7.13%. Tessie 앱에서는 배터리 가용 용량(Battery Net Capacity)을 78.47kWh로 인식하고 있음. 그러나 나는 공시적으로 알려진 75kWh로 계산함
08. 주행거리 72,000km에서부터는 일상에서의 배터리 충전한도를 80%까지로 제한함. Tessie 앱에서 확인한 바로는 내가 소유한 Model Y가 다른 사용자의 평균보다 배터리 열화정도가 빠르다고 측정되었음. 개인적으로도 체감되는 주행가능거리가 급격하게 줄어들어 배터리를 신경써서 관리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음.
09. 현재까지 배터리는 약 17.570kWh 충전하였고 전기차 충전에 총 368만원 정도 지출하였음 (EV카드 할인 미적용금액)
10. 2024년 12월부터 현재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에서 전기차 충전사업자를 기존 파워큐브코리아(완속기준 3kWh)에서 SK일렉링크(완속기준 7kWh)로 변경함. 그래서 전기차를 사용하는 입주민을 대상으로 무료사용 프로모션을 진행하여 해당기간내 충전요금이 발생하지 않음. 사업자 변경에 대해서 할 말이 많은데 주민들에게 사업자 선정에 관해서 일체의 공지나 투표도 없이 이뤄짐. 그리고 아직은 무상지원 기간이지만 프로모션 끝나고 맞이하게 될 충전요금은 기존보다 약 70% 증가하는 수준임. 전기차 충전비가 크게 비싸지게 되었음 ㅡㅡ". 아마 100,000km 사용기부터는 체감되는 SK일렉링크 완속충전요금 경험에 대한 글을 쓸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됨
11. 겨울철 전비는 전년보다 크게 약 9% 저하되었으나 충전 손실율은 전년보다 약 35% 개선되었음
12. 전기차 충전시 프리컨디셔닝은 거의 사용하지 않음
13. 충전속도별 충전손실율을 비교해 본다면 완속에서는 7kWh, 급속에서는 250kWh급에서 가장 효율이 좋았음.
14. 3kWh급은 파워큐브코리아, 7kWh와 200kWh 급은 주로 SK일렉링크를 사용하였음
15. 250kWh급은 사실 테슬라 수퍼차져였음. 이미 장치간 연결이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제일 좋을 수 밖에 없다고 생각
16. 급속충전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적어도 30% 이상 충전하는 것을 권장함. 경험상 충전량을 20% 이하로 충전하는 경우 충전손실이 매우 컸음. 충전비도 비싼대 돈 아까움. 가능하면 최대한 멀리가고 배터리 잔량이 30% 이하에서 80%까지 또는 그 이상 충전하는 방법을 권장함. 그리고 멀리 여행을 가게 되더라도 가급적이면 급속충전기보단 완속충전기를 사용할 것을 권장함.
17. 기온이 전기차 전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충전구간별로 전비를 측정하여 해당구간 평균기온과 비교해봄
18. 외부환경조건으로 집에서는 지하주차, 회사 또는 외부에서는 대부분 야외주차시설을 이용하였음
19. 실내환경조건으로 온도기준을 여름철에는 21~23도, 겨울철에는 23도로 지정하고 열선은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하였음
20. 위 그래프에서도 나타나지만 지난 3년동안 2024년 하반기 겨울이 가장 추웠음. 여름은 점점 더워지고 겨울은 매해년 추워지는거 같음
21. 작년보다는 다소 편차는 있었으나 측정구간내 전비 Slope는 좋지 못한거 같음. 중간중간 고전비의 Peak 데이터가 있는데 이때는 겨울임에도 낮기온이 크게 오르고 그에 따라 전비효율이 좋아졌던 날들이 몇 번 있었는데 그 영향으로 생각됨
22. 이제는 3년간의 주행기록이 누적되었기 때문에 월별 전비를 비교해봐도 좋을거 같다는 생각임. 다음 사용기에서는 3년간 월별로 전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비교해볼 생각임
■ 주행/승차감
01. 아래 동영상과 같이 Autopark 기능가 진짜 옆그레이드가 아닌 업그레이드되었음. 이 버전 이후로 내가 주차할 일이 99% 없어짐. 정말 놀라울 정도로 잘함. 주차속도, 주차 정확도 등 사람이 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음.
02. Autopark가 작동하는 벙식을 보면 주차선은 보조로 인식함. 양옆에 있는 자동차나 기타 사물과의 거리를 인식하고 사람이 타고 내릴 수 있는 공간을 생각해서 주차함
03. 주차선이 없더라고 Autopark가 작동함. 단 주차하려는 공간에 차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인데 그 옆에 공간을 확인해서 주차함
04. 2024.45.32 버전부터 신호등뿐만 아니라 도로면에 있는 방향표시도 인식함. Premium connectivity를 사용하면 신호등에 따라 반응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Premium connectivity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서 잘 모르겠음
05. 이번 사용기간내 SW 업데이트로 크게 달라진 점은 없었음. Autopark 외엔 특별히 설명할 부분은 없었음
06. 주행거리가 80,000km에 거의 도달하여 EWI를 신청하였음. EWI란 테슬라 차량의 연장보증보험 (Extended Warranty Insurance)으로, 기본 보증기간 만료 후 추가적인 수리 및 부품 교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임.
07. 가입할까말까 정말 고민하다가 내가 구매한 Model Y의 생산시점에 하부쪽 품질이슈가 있었던터라 일단 가입하기로 함. 차량보증검사 때 어드바이저에게 물어보니 국내는 EWI 가입하시는 분이 절반 정도는 된다고 함
08. 난 80,000km가 거의 도래해서 가입하는거라 380만원을 내야 했음. EWI 가입 전에 테슬라 공식서비스센터에 가서 차량보증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이 검사가 대략 2~4시간 정도로 확인시간이 길고 서비스 예약도 잡기가 어렵기 때문에 마릴리지 만료 전, 적어도 2000km 이상은 남았을 때 신청하는 것을 권장함. 제 때 차량공인검사를 못 받으면 EWI 신청이 불가함
09. EWI는 테슬라 기본 차량 제한보증이 만료되는 날 ( 4년 이내 / 80,000km 선 도래 기준)의 익일부터 4년 혹은 80,000km 중 선 도래하는 시점까지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음
10. 내 경우는 기간(4년)은 도래하지 않았지만 마일리지(80,000km)가 도래하여 EWI를 개시한 케이스임
11. 80,000km까지 150km 정도 남겨놓고 차량보증검사를 신청해서 받을 수 있었는데(ㅋ ^^) 생각치도 않게 배선을 건드린 흔적이 있어서 차량보증을 받을 수 없었음(튜닝한 부분이 있으면 무조건 보증검사 불가함)
12. 그래서 부랴부랴 원인을 찾아보니 하이패스를 차량내부에 설치했는데 설치했던 샵에서 사용자 편의(?)를 고려해서 장치전원을 자동차 배선에 직접 연결했던게 문제였음. 그래서 하이패스 연결선을 제거하고 시거잭을 사용하여 전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변경하고 테슬라 서비스센터를 재방문하여 차량보증검사를 완료하고 EWI에 가입할 수 있었음
13. 다른 분들은 내 블로그를 참고해서 이러한 시행착오는 겪지 않으시길 바람
14. 차량보증검사하면서 전륜 서스펜션쪽에 문제가 발견되어 부품을 교체하였음. 난 크게 느끼긴 못했는데 주행시 찌그덕거리는 소음으로 불편했을거라고 어드바이저가 알려줌. 보증이 없었더라면 약 100만원 정도 비용이 발생했음. 다행히 보증검사 전에 발견되긴 했는데 이전 보증으로 비용처리함
15. 2025년 01월 24일 Tesla New Model Y, Juniper가 세상에 알려짐. 내 모델Y는 완전한 구형이 됨을 공식화한 날이었음. 내 블로그의 모델Y 사용기 연재는 후행기록이라 이미 주니퍼에 대해 알려지고 국내에서도 들어와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더이상 긴 얘긴하지 않겠음
16. 모델Y 주니퍼에서 내가 가장 갖고 싶은 기능은 "핸즈프리 트렁크"임. 손을 쓰지 않고도 가까이 가면 자동으로 트렁크가 열리는 기능인데 아이폰에서 자동화 기능을 설정하면 가능하지만 그래도 불편한 부분은 있음.
17. New Model Y가 나왔고 차량의 부품이나 기능들이 크게 업그레이드되고 내 차에서는 더이상 지원되지 않는 기능들도 점점 많이 질거라고 생각함.
18. 내 블로그에서의 사용기 연재가 더이상 도움이 되고 의미가 있을까? 한 번은 생각해봤음. 그러나 배터리 사이즈나 효율이 드라마틱하게 향상된 건 아니고 부품들이 업그레이드 되었더라도 전체적인 에너지 사용사양은 비슷할거라고 생각함. 환경부로부터 인증받은 주행가능거리와 복합전비만 봐도 어느 정도 비교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함
19. 모델Y 사용기 연재는 이 차를 계속 탈 때까지는 써볼 생각임. 뭐 언제가는 더이상 SW 업데이트가 안되는 날도 오겠지만...
■ 주요 SW 업데이트 및 FSD
01. 사용기 주행구간내 사용 FSD 버전 : 2024.32.7~2025.2.8
02. 사용기간동안 변경된 FSD 주요 업데이트 사항
(1) 2024.38.7
- 01. Spotify Free
=> Spotify Premium 요금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도 Tesla 차량에서 Spotify를 사용할 수 있음. Premium connectivity 또는 Wi-Fi 연결 필요
- 02. Curve Assist
=> 특정지역에서 Autoilot 사용시 차량이 더욱 급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Curvature Assist 기능이 추가됨. 이 기능이 활성화되면 차량의 시각화 영역에 "Curvature Assist Active"가 표시됨
- 03. Tesla App Commands
=> 차량과 가까이 있을 때 Tesla 앱에서 내리는 명령은 이제 차량의 인터넷 연결 대신 Bluetooth를 통해 전송되므로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음
- 04. Autopilot Hardware Version
=> 지금까지는 차량의 Autopilot 하드웨어 버전이 3인지 4인지 구분하기 어려웠음. 2024.38 업데이트부터 Tesla는 소프트웨어 탭에 차량의 Autopilot 하드웨어 버전을 표시
(2) 2024.45.32
- 01. Precipitation Map and Weather at Destination
=> 차량지도에서 해당지역의 강수량을 바로 확인가능. 내비게이션 이용 중에는 날씨 팝업에서 목적지의 날씨를 확인가능. 현재 위치와 최종 목적지 사이의 큰 차이에 대한 업데이트도 제공됨.
=> Premium connectivity 필요
- 02. Apple Watch
=> Apple Watch용 Tesla를 사용하면 휴대폰 키처럼 시계를 키로 페어링하여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차량의 잠금을 해제하고 잠글 수 있음. 또한 시계 페이스 컴플리케이션으로 차량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트렁크나 트렁크를 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음
- 03. Mobile App Dashcam Viewer
=> 휴대폰에서 바로 블랙박스 및 감시 모드 클립을 보고 저장할 수 있음. 먼저 터치스크린에서 모바일 앱을 통해 카메라 보기 설정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컨트롤 > 안전). 그런 다음 모바일 앱에서 보안 > 대시캠 뷰어로 이동. 클립은 종단 암호화되어 있으며 Tesla가 액세스할 수 없음.
=> Premium connectivity 필요
- 04. Set Arrival Energy
=> 이제 목적지에 도착할 때 배터리 충전수준을 설정할 수 있음. 더 많은 충전을 원하면 더 높게, 더 빠른 도착을 원하면 더 낮게 설정할 수 있음. 트립플래너가 그에 따라 경로를 조정하여 권장 충전 장소와 시간을 추가하거나 수정함
- 05. Search Along Route
=> 내비게이션 중에 커피숍, 패스트푸드점, 기타 정류장 등의 위치를 검색하면 이제 경로를 따라 옵션이 표시되도록 결과가 필터링됨. 각 결과에는 예상 우회 시간도 포함
- 06. Rear Cross Traffic Alert
=> 후진기어로 기어를 바꾸면 차량 뒤에서 보행자나 차량이 건너는 것을 감지하여 후방카메라 피드의 해당 부분을 빨간색으로 강조하여 경고해줌
- 07. Seats Control
=> 새로운 시트 제어판에서 비어 있는 조수석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음. 컨트롤 > 좌석으로 이동하여 사용
- 08. Theater and Video Updates
=> 운전 중 Frone 화면에서 Rear theator를 조작하여 재생목록을 편집하거나 비디오를 일시정지할 수 있음 (2021년형 이후 모델 S, 2021년형 이후 모델 X, Cybertruck, 2024년형 모델 3만 해당)
=> 미디어 카드를 사용하여 브라우저 또는 시어터를 통해 재생 중인 활성 비디오 콘텐츠를 재생 및 일시정지할 수 있음
=> 운전 전에 웹 브라우저에서 비디오를 시작하여 좋아하는 콘텐츠를 도로에서 오디오로 즐길 수 있음
(2) 2025.2.8
- 01. Camera Visibility Detection
=> 주행이 끝날 때 카메라 가시성 저하가 감지되면 알림을 받게 됨. 이 이미지를 보려면 서비스 > 카메라 가시성으로 이동
=> 데이터 공유 환경설정이 허용하지 않는 한 이미지는 차량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공유되지 않음. 이틀 후 자동으로 삭제
=> 데이터 공유설정을 검토하려면 소프트웨어 > 데이터 공유로 이동
- 02. Third-Party Fast Charger Preconditioning
=> 타사 급속충전기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프리컨디셔닝을 지원. 급속충전기를 목적지로 설정하면 충전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필요할 때 배터리 프리컨디셔닝이 자동으로 시작
- 03. Rear Cross-Traffic Chime
=> 후진기어로 변속하면 차량이나 보행자 등 뒤에서 다가오는 물체가 감지되는 방향에서 경고음이 재생됨.
=> 컨트롤 > 안전 > 후방교차 교통 경고음으로 이동하여 사용
11부 버전-R00. 끝.
'Tesla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부터, Tesla MYL 사용기록의 Data 수집 및 분석기준을 변경하다 (3) | 2025.07.30 |
---|---|
유튜버들은 얘기해주지 않는, 기계공학 엔지니어가 경험한 테슬라 모델Y 나의 사용기-11 (60,001 ~ 70,000km) (6) | 2025.07.28 |
유튜버들은 얘기해주지 않는, 기계공학 엔지니어가 경험한 테슬라 모델Y 나의 사용기-10 (50,001 ~ 60,000km) (4) | 2024.10.09 |
SK일렉링크 충전소 충전요금 인상 (2024.08.26~) (0) | 2024.08.01 |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이지차저(Easy Charger) 전기차 충전기 보급현황 <2024.04.29 기준> (1)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