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여러 경로를 통해서 확인해본 바로는 모델Y의 경우 주행환경에 따른 전비의 범위가 구형이나 신형인 주니퍼 간 차이가 별로 없었다. 그러므로 아직 내 모델Y의 사용기는 여전히 유효할 것 같다.
모델Y 주니퍼가 한국에 출시될 당시, 유튜버들에 의해서 전비가 놀랍도록 향상되었다고 동영상을 만들어내었지만 실상은 사용자 경험 디자인 사양은 거의 동등하기 때문에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음을 국내/외 실제 사용자들의 사용경험과 후기를 통해서 수집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모카도 그런 유튜브 영상을 찍을 줄은 몰랐다.
모카에서 올린 주니퍼 시승기 유튜브 영상(https://youtu.be/XUR1p4ouC9U?si=Pl8Vfxgb2xd36MYl)을 반박하는 블로그 포스트를 만들려고 준비하다가 회사일이 너무 바빠 시기를 놓치는 바람에 그냥 드랍시켰다.
그나마 사실을 얘기해준다고 믿었던 유튜버였는데, 이 동영상 이후로는 잘 안 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연식 : 2022년형 (2022년 6월 인도)
▷ 차량버전 : Model Y Long-range, 20인치 휠 + USS 포함 + FSD(NOA) + HW3.0
▷ 일상에서의 배터리 사용구간 : 20~80% (+ 감시모드를 상시로 사용함)
▷ 주행거리의 90% 이상을 고속주행으로 다님
▷ FSD버전 : 2025.2.8~2025.26.7
▷ 운행기간 : 2025년 03월~2025년 08월
▷ 사용기 주행거리 : 약 80,001 ~ 90,000km
▷ 주사용 속도구간 : 70~125km(When overtaking)
▷ 현재 평가주행가능거리 : 408.1km [디스플레이 표시 주행가능거리 531km(최초) => 500km(약 13개월) => 511km => 490km => 480km => 380km(겨울) => 450km (2025년 08월 28일 기준)]
▷ 연비 : 43.7원/km
※ 위 표에서 계산된 수치값은 테슬라 데이터와 서드파티앱들의 데이터를 수기로 기재한 Raw Data들로 오차는 있으니 감안하여 볼 것
- 주행거리 10,000km 단위로 사용기를 연재해 본다.
38개월동안 약 90,000km 정도 운행하였고 대부분은 고속도로에서 주행하였다.
그동안 느껴본 테슬라 모델Y 2022년 형의 시승기(?)를 적어본다.
연재되는 포스트라 앞에 글을 읽어야 다음글을 이해할 수 있음
그리고 주관적인 부분도 많으니 참조 정도로만 생각하시길~!
■ 배터리 관련

01. 충전 평균손실율이 11.80 % => 11.25 %로 4.7 %로 감소
02. 연비는 43.7 km/원으로 5% 저하되었음
03. 최근 유류가가 크게 인상되었는데 휘발유 1600원 기준으로 전비를 연비로 환산하면, 이는 36.6 km/L에 해당함 (대기전력손실을 포함함)
04. 전비는 0.5 % 정도 향상되었고 대기전력손실도 0.2 % 개선되었음
05.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주행가능거리는 450 km로 변동이 없음
06. 그러나 배터리 열화는 7.13% => 9.92%로 39.1% 로 크게 나빠져 가용 배터리 용량이 70.0 => 68.2 kWh로 2.5 % 감소함
07. 배터리 열화로 인해 실제주행가능거리도 416.7 km 에서 408.1 km로 2.1 % 줄어들었음
08. 배터리 열화의 가속은 해당기간동안 있었던 고속주행빈도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됨

09. 현재까지 배터리는 약 20,079 kWh 충전하였고 전기차 충전에 총 394 만원 정도 지출하였음 (EV카드 할인 미적용금액)
10. 총 충전비용 통계에 약간의 왜곡이 있는데, 2024년 12월부터 현재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에서 전기차 충전사업자를 SK일렉링크 (완속기준 7kWh)로 변경했고 일정기간동안 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충전요금을 할인해주고 있음. 그래서 생각보다 충전요금 지출이 많이 발생하지 않음. 2024년 충전기록을 참고했을 때, 실제충전금액은 500 만원 정도되지 않을까 생각됨
11. 2024년에서 2025년으로 넘어오면서 YOY간 비교해보면, 배터리 효율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나타남. 충전량과 주행거리의 차이로 인해 YOY 비교가 어렵지만 구간전비를 기준한다면 확실히 10% 정도의 효율저하가 일어난 것으로 보임. 특히 7,8월 여름철의 효율저하가 매우 컸음
12. 다만, 충전손실율은 크게 개선되었음

13.전기차 충전시 프리컨디셔닝은 거의 사용하지 않음
14. 2025년 충전속도별 충전손실율을 비교해 본다면 완속에서는 7kWh, 급속에서는 50kWh급에서 가장 효율이 좋았음.
15.50kWh 는 고속도로 휴게소와 공공기관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를 이용한 것인데, 앞서 경험하지 못한 의외의 기록이었음. 이때로 프리컨디셔닝은 사용하지 않음

16. 체감상 2025년의 여름은 2024년의 여름보다 무더웠음. 위 그래프의 온도데이터만 봐도 확인할 수 있음
17. 평소 "실내 과열 방지 - A/C 켬" 모드로 사용했으나 전력사용량이 너무 많아 "실내 과열 방지 - A/C 끔"으로 변경함. 실내온도가 73도까지 상승하는 걸 확인함

18. 일별 구간전비 기록의 크기빈도만 봐도 2025년 에너지 효율저하가 확인됨. 좀 개선할 방법이 있을지 모르겠음

19. 실제데이터 측정은 약 65,000 km 에서 시작하였음. 이전 ~65,000 km 까지의 데이터는 누적주행거리 65,000 km 를 기준으로 열화율을 역산하여 선형으로 계산한 것임.
20. 현재 열화율은 9.92 %로 지난 6개월 동안만 열화율이 약 2 % 가 급등해서 당황스러웠음. 최근 BMS-a079 문제로 한국의 테슬라 오너사회가 매우 시끄러운데, 나도 이 문제를 겪게 되는거 아닌지 덜컥 겁이 나기도 함
21. 다른 사용자들보다도 열화율이 높은 편임.
22. 아마도 고속주행 유지시간이 원인일거 같은데 전체 주행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서 확인해봐야 할 것 같음
■ 주행/승차감
01. 지난 SW 2025.2.8부터 2025.14.7 될 때까지 테슬라 모델Y FSD 구매 이후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였음
02. 버그들이 너무 많아 설치 후 재부팅이 필요했음
03. SW 2025.8.7에서 FSD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주행 중 설정해놓은 길안내가 갑자기 비활성화됨. 다시 길안내를 실행했으나 또 비활성화됨
04. 2025.14.7 버전 이후부터는 개인적 느낌이나 승차감이 굉장히 개선되었음. 노면을 읽는 것처럼 느껴졌는데 속도를 순간적으로 아주 미세하게 조정하여 둔탁한 길도 좀더 부드럽게 넘어가는 느낌이었음.
05. 2025.20.6 버전에서 FSD 오류로 사고날 뻔함 > 확신~!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구간이었는데 도로 라인을 잘못 읽었는지 정말 급작스럽게 혼자서 차선 바꾸고 바로 오른쪽에 있는 벽으로 돌진. 차선변경 요청도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였음. 그래서 수동으로 FSD 비활성화하고 직접 운전함

06. 2025.14.1 버전 업데이트 이후로 에너지 사용량 예측이 대체로 정확하게 맞음
07. 2025.20.6 에서는 고도에 따른 에너지 소요가 여태껏 (-)가 찍힌 적이 없었음.
08. 크게 달라진 것이라면 고속주행간 가감속의 알고리즘 특히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대처방식이 최적화된 것으로 생각됨
09. 개인적으로 측정해본 수치로는 약 10% 개선효과를 보임
10. 100km/h 미만의 고속주행간 우측에서 빠르게 진입하며 접근하는 차량을 발견하더라도 제동을 걸지 않음. 그러나 100km/h 이상에서는 여전히 우측에서 다른 자동차가 튀어 나오면 급제동 작동함. 아직 개선되어야할게 많은거 같음
11. HW4.0은 데이터 처리가 최소 3배 이상이어서 동일할지는 잘 모르겠음
■ 주요 SW 업데이트 및 FSD
00. 2025년 3분기, 테슬라에서는 공식적으로 HW 3.0 기반 FSD의 주요개발을 중단하였음. 앞으로 유지/보수 및 버그수정만 담당할 것이라고 발표함. 나도 앞으로 주요 SW 업데이트에 대한 글을 포스팅할 일이 점점 없어질지도 모르겠음
01. 사용기 주행구간내 사용 FSD 버전 : 2025.2.8 ~ 2025.26.7
02. 사용기간동안 변경된 FSD 주요 업데이트 사항
(1) 2025.14.7

1) Alternative Trip Plans
- 여러 여행 계획을 선택할 수 있음. 최단 경로: 가장 빠른 경로를 제공
- 최고의 편의시설: 운영 중이며 평점이 높은 식당, 상점 및 화장실 근처 경유지를 우선할 수 있음
- 더 적은 경유지: 충전 경유지를 최소화
2) Avoid Highways
- 내비게이션이 고속도로를 회피하고 주요도로를 우회하는 대체경로를 제공함
- 컨트롤 > 내비게이션 > 고속도로는 피할게요로 적용가능
3) Dashcam Update and Side Camera Recording
- 차량의 사이드 카메라(B필러)가 블랙박스와 감시 모드 클립 모두에 기록
- 블랙박스 뷰어 앱이 그리드 보기로 업데이트되어 더 쉽게 녹화에 액세스하고 검토할 수 있음
4) Keep Accessory Power On
- 배터리가 20% 이상인 경우, 차량하차 후 저전압 콘센트 및 USB 포트를 통해 장치를 사용하거나 충전가능
- 운전자가 없고 차량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해당 포트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
- 컨트롤 > 충전 > 액세서리 전원 켜짐 유지로 적용가능
5) Keyboard Languages
- 터치스크린에서 언어 입력 방법을 쉽게 전환할 수 있음
- 키보드를 추가하려면 컨트롤 > 디스플레이 > 키보드로 이동. 키보드에서 전체 아이콘을 길게 누르고 원하는 키보드를 선택
6) Minor Updates
- 충전기 위치 페이지를 보고 있을 때 도보 거리에 있는 주변 식당, 카페 및 상점이 하단에 표시
- 미디어 검색 결과가 소스를 기준으로 필터링되어 콘텐츠에 더 빠르고 간편하게 액세스 가능
- 스티어링 휠 버튼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탭하여 Sirius XM 즐겨찾기를 쉽게 스크롤
- Amazon Music 무료계정으로 로그인 가능. 프리미엄 커넥티비티 또는 활성화된 WiFi 연결이 필요
- 이제 100개 이상의 노래가 포함된 전체 Apple Music 재생 목록을 무작위 재생 가능
- 내비게이션 설정에서 지도에서 Tesla가 소유하거나 서비스하지 않는 충전기를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음
- 핫스팟이 활성화된 경우 주행을 시작할 때 핫스팟이 자동으로 차량에 연결되어 매번 다시 연결할 필요가 없음
- 이제 연락처 사진이 수신 전화와 차량의 전화 앱에 표시
(2) 2025.20.6

1) Unlatching Charge Cable
- 차량이 잠금 해제되어 있거나 인식된 키가 근처에 있을 경우, 후면 왼쪽 도어 핸들을 3초간 길게 당겨 충전을 중지하고 충전 케이블을 분리할 수 있음. 충전 케이블에 잠금해제버튼이 없을 때 특히 유용
2) Supercharging Live Activity
- iPhone 또는 페어링한 Apple Watch에서 실시간 수퍼차징 충전현황 확인가능
- 충전세션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실시간 충전 현황을 확인 가능
3) Trunk Open Warning
- 트렁크를 열고 차량을 주행 모드로 전환하면 경고음을 울림
- 운전자는 트렁크가 열려 있음을 인지하고 주행을 계속하거나, 트렁크를 자동으로 닫도록 선택할 수 있음
4) Improved Energy App
- 에너지 앱은 특정조건에서 특정경로에 대한 테슬라 차량의 평균속도를 표시할 수 있음
- 감속을 통해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지도 표시
5) Dashcam Viewer Wider View
- 전체 화면(자르지 않은) 또는 일반 화면으로 전환하는 버튼이 추가
- 두 화면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센트리 모드(Sentry Mode) 작동 중 무언가를 식별하려는 경우 전체 화면이 유용할 수 있음
- HW3 및 HW4 차량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AMD Ryzen 프로세서 이상 필요
6) Dashcam Viewer Multi-Delete
- 여러 대의 대시캠 또는 센트리 모드 영상을 한 번에 삭제할 수 있음
-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있는 세 개의 점 […]을 탭하고 삭제할 클립을 선택
- AMD Ryzen 프로세서 이상 필요
(3) 2025.26.7

1) Dashcam Update
- 블랙박스 앱에서 재생속도를 조절하여 더욱 유연하게 영상을 확인할 수 있음
- 주차한 상태에서 앱 런처 > 블랙박스로 이동
2) Site Info at Arrival
- 충전소 도착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충전기 목록의 새로운 아이콘이 발렛서비스 또는 유료주차액세스가 필요한 위치를 나타냄
- 도착하면 알림을 통해 출입코드, 주차제한, 높이 또는 층 정보, 화장실 사용가능 여부와 같은 주요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3) Audio Settings Update
- 개인 이퀄라이저 프리셋으로 사운드를 사용자 설정
- 청취 선호사항에 맞게 프리셋을 여러 개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음
- 오디오 설정은 컨트롤 > 오디오에 있으며 컨트롤 검색을 통해서도 이용가능
4) Mobile Access
- 제어 > 안전에 있는 Tesla 모바일 액세스 옵션을 사용. 모바일 앱에서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안전하게 비활성화할 수 있음
- 이 옵션을 비활성화하면 위치 확인, 차량 잠금해제 및 시동을 포함한 차량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없게 됨
- 이전에는 Tesla 계정과 연결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야 모바일 액세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었음
- 이제 Tesla 계정과 연결된 이메일 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음
5) New Lock Alert
- Tesla 앱으로 차량을 잠그거나 차량과 멀어져도 차량내 휴대폰 소지자가 있을 때 표시되는 새로운 잠금 애니메이션을 추가
- 차량내부에 있는 사용자에게 휴대폰 키가 근처에 있어 차량 외부에서 여전히 차량 문을 열 수 있음을 알려줌
6) Battery Health Test Removed
- 모든 차량이 아닌 여러 차량에서 배터리 상태 테스트 기능을 삭제
- 배터리 상태 테스트는 처음에 서비스 모드에 추가되었지만, 이후 차량 메인메뉴에 추가되어 더 많은 사용자가 이용가능
- 이 테스트를 통해 차량 소유자는 차량의 배터리 성능 저하 수준을 확인할 수 있음
- 컨트롤과 서비스 모드의 도구는 거의 동일하지만, 메인 메뉴버전은 테스트 수행 전, 차량 충전량이 20% 미만이어야 함
- 또한, 너무 자주 테스트하여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6개월에 한 번만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허용
- 테스트를 한 번도 실행한 적이 없는 차량의 경우, 기능이 삭제된 이유를 명확히 알 수 없지만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13부 버전-R00. 끝.
'Tesla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Finally, Tesla brings the fully-fledged Model Y to market (0) | 2025.09.11 |
|---|---|
|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워터(Water) 전기차 충전기 보급현황 <2025.08.10 기준> (2) | 2025.08.11 |
| 유튜버들은 얘기해주지 않는, 기계공학 엔지니어가 경험한 테슬라 모델Y 나의 사용기-12 (70,001 ~ 80,000km) (4) | 2025.08.09 |
| 이제부터, Tesla MYL 사용기록의 Data 수집 및 분석기준을 변경하다 (3) | 2025.07.30 |
| 유튜버들은 얘기해주지 않는, 기계공학 엔지니어가 경험한 테슬라 모델Y 나의 사용기-11 (60,001 ~ 70,000km) (6) | 2025.07.28 |